fflowerpott

[금융] 기준금리와 외환시장 본문

각종정보

[금융] 기준금리와 외환시장

fflowerpott 2025. 2. 24. 17:06
728x90
반응형

IRA 실행 ->

임금의 인상가속화 , 인플레 심화

중산층이하 학자금 대출 절반 탕감

-> 임금의 인상과 물가의 상승을 야기하는 정책

젝슨홀 계속 금리를 올리겠다 발표 :

강달러에 의해 다른 통화가 박살남

장기적으로 경기불황을 만들겠다.

장기적으로도 인플레는 안잡힐것이다.

금리인상을 통해 달러강세 유지

더 싼 원재료를 더 쉽게 해외수입이 가능한 상태

소득도 그만큼 늘리도록 부채탕감등의 정책을 취하니

그 피해는 고스란히 다른나라로 전가.

그동안 빚을 많이 냈던 나라가 힘듬.

엔화 유로화 원화 약세...

미국의 금리인상속도를 따라가서 올린 나라가 우리나라인데

가치하락률은 대만 싱가폴의 2배정도임.

94년과같이 장기간 고금리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아마도 2024년 중후반에나 낮추지 않을까.

미국은 금리를 올리더라도

고용이 살아있으니 경기가 좋을 수 밖에 없다.

고용의 공급을 줄이니 고용이 타이트해지고

+경기는 고용에서 시작됨.

기준금리 격차가 100pp이상 난다?

기준금리의 영향을 받는 단기금리를 갖고 투자를함.

채권시장 유동성 경색/외환시장

채권시장에 자금을 조달해 왔던 기업이 부도위험에 노출된다는 것.

부도가나면 또다시 채권시장에 영향을 미쳐 외환매도를 가속화시킴

근데 지금은

가계부채가 가장 문제.

기준금리가 단기간에 오르면

대출금리가 너무 빨리 오른다.

기준금리 1 -> 대출금리 1.5 오름. 탄력도가 너무 큼.

변동금리 대출. // 코픽스,은행금리에 연동해서 기준금리를 변경

고금리예금 유치 경쟁으로 코픽스도 상승.

1/4인 500만명이 갚을 수 없는 위험에 노출됨.

이건 영끌 뿐만이 아니다.

기업 영끌 아닌 개인도 모두 위험하다.

그래서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을 주저했던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권시장이 더 중요하다.

728x90
반응형